공부/오류
-
Ec2 authorized_keys를 변경했을때 오류(permission denied)공부/오류 2025. 1. 8. 22:42
해당 오류는 오류라기보다는 실수를 하지 않기를 바라면서 작성하였습니다. 혹시라도 실수하셨다면 당황하지 마시고 천천히 하나씩 진행하시면 원하시는 문제를 해결하실수 있습니다.다만, 공개키를 알고 계셔야 합니다. 모르고 계시다면 새로 키를 발급받고 공개키를 등록하는 과정을 진행해 주셔야 됩니다. 1. 로컬에서 X.pem 키로 ec2에 접근하려고 시도- 최종적으로 확인을 위함입니다. 2. AWS Console에서 직접 접속을 해야 합니다.- 접속하려는 인스턴스를 확인합니다.- 인스턴스클릭 후 우측 상단에 연결 버튼을 누릅니다. - SSH 클라이언트는 자주 접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EC2 인스턴스 연결은 자주 접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사용자 이름은 따로 설정하지 않으셨다면 ubuntu입니다.- 여기서 우측 ..
-
[Nest] EC2 인스턴스의 CPU가 갑자기 상승하는 이유(with TypeORM)공부/오류 2024. 3. 18. 23:36
EC2 인스턴스로 서버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Monitoring을 하는데, CPU가 상승하는 현상을 보게 됐다.CPU가 상승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CPU 상승 원인1. 사용자 증가- 회사 서비스의 사용자 증가..... 아니다.2. 배치 작업-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배치 작업이 CPU를 상승시킬 수 있지만, 배치작업을 하는 시간도 아니었고, 그런 기능도 적용하지 않은 상태였다.3. 내부 코드의 문제.....여러 가지 다른 문제들도 있겠지만, 나의 경우 내부 코드의 문제로 생각이 들었다. 이유는?특정 API 요청을 보낼 때, CPU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고, 해당 코드의 문제를 천천히 확인했을 때.하나의 테이블을 조회하는 부분에서 Relation이 6개 이상인 테이블을 조회를 하..
-
[Nest] Nestjs를 실행하는 EC2 인스턴스 메모리가 상승했던 이유공부/오류 2024. 3. 14. 23:34
해당 경험은 Typescript를 사용하면서 제대로 알지 못해서 겪었던 이유였습니다. Node를 사용해 본 경험은 있어도, Typescript를 사용해 본 경험은 이번이 처음이며, Nest라는 프레임워크를 제대로 알지 못해서 발생했던 문제라고 생각한다. 내가 겪었던 문제. EC2 인스턴스에서 nestjs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코드를 실행하는데, EC2의 memory 사용률이 상승했다가 안정적으로 돌아와야 하는데 돌아오지 않았다. 허용 범위가 1.5G인데, 1.2G까지 상승하고 내려오지 않는 문제를 발견하였고. 해당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디서부터 고쳐나가야할지 고민을 했다. 코드의 문제, 메모리 누수, 캐시...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모든 문제들이 아니였다. 문제점. Package.json에 작성한 scr..
-
[Django-S3] File upload failed : AccessControlListNotSupported: The bucket does not allow ACLs공부/오류 2023. 3. 7. 23:45
Django에서 이런 에러를 보게 됐다. 이 문제는 S3 설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부분이라서 ACL 부분만 설정을 바꿔주면 된다. - s3 로 가서 권한을 클릭 - 객체 소유권 편집 클릭 - ACL 활성화됨을 클릭하면 하단에 'ACL이 복원된다는것을 확인합니다' 라는 체크 박스가 보일것이다 그것을 체크 후 저장 이렇게 하면 이제 해당 에러는 보이지 않을 것이다. Ref. https://www.inflearn.com/questions/374465/s3-acls-%EC%98%A4%EB%A5%98 s3 acls 오류 - 인프런 | 질문 & 답변 보고 따라하면서 파일 업로드를 진행했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File upload failed : AccessControlListNotSupported: The..
-
[Error]django - Nginx status 200, Not Accept static file - nginx상태코드가 200이지만 적용이 안된 경우공부/오류 2023. 3. 4. 17:37
내용 django-gunicorn-nginx 연결을 잘해줬다고 생각을 하고 도커 컴포즈를 실행해 보았다. 보통 static file은 nginx에서 처리를 하기 때문에 swagger, admin과 관련된 html, css, js는 nginx에서 처리가 돼야 했다. 하지만, 서버 정상 작동(API 기능들 성공) 상태 이지만 정적파일들을 읽을 수 없었다. 이 부분에서 의문이 들었던 것은 웹에서 swagger를 볼 때 개발자 도구에서 network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어떤 파일들을 받으려고 하는지 상태코드부터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여기서, 제일 의문이 였던건... 상태코드가 200으로 정적 파일들을 모두 읽어오고 200이는 표시까지 정확하게 확인이 됐기 때문이다. 만약, 읽지 못했다면 404 or 다른 에러..
-
django error: connection to server at "localhost" (::1), port 5432 failed: Connection refused공부/오류 2023. 3. 1. 22:07
내용 sqlite3을 사용하다 postgresql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해당 문제를 겪게 되었다. 에러 내용 더보기 django.db.utils.OperationalError: connection to server at "localhost" (::1), port 5432 failed: Connection refused Is the server running on that host and accepting TCP/IP connections? connection to server at "localhost" (127.0.0.1), port 5432 failed: Connection refused Is the server running on that host and accepting TCP/IP connecti..
-
Django error: 'latin-1' codec can't encode characters in position 55-56: ordinal not in range(256)공부/오류 2023. 2. 27. 22:39
내용 해당 에러가 gunicorn으로 서버를 돌릴 때만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어디서 발생하는지 위치를 파악해본 결과 serializer.save() 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계속 검색해보고 전문가의 조언으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문제점 장고는 phone_number를 암호화 처리하여 저장하는 로직을 구현하였다. 해당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였다. (gunicorn은 gunicorn은 문자 인코딩을 latin-1로 설정 되어있다고 한다.) 환경변수를 바꿔주고도 시도를 했지만 실패했다.(방법1. gunicorn --env LANG=en_US.UTF-8 tutorial.wsgi.local:application) utf-8로 바꿔줘봤지만 실패(방법2. DEFAULT_CHARSET='utf-8..
-
Docker Error db: Invalid address (subnets): It does not belong to any of this network's subnets공부/오류 2023. 2. 25. 16:04
내용 즐거운 주말 점심식사를 하려고 하던 도중 앱에 문제가 생겼다는 연락을 받았다. 현재 앱에 문제라고 보면 인증번호 관련 문제라고 생각을 했지만,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이 되지 않고 있었다. 그래서 ssh로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려고 했으나 접속 되지않는 문제가 발생....... 이런 경우는 처음이였는데, 해당 문제를 순차적으로 해결한 방법부터 설명하겠다. 해결방법 1. 도메인, 서버는 정상적으로 작동 중에 있지만, 접속이 안되는 경우 - 1. ssh hostname(호스트네임)@도메인주소 => (접속시도 하였으나 실패) - 2. ssh -p 22(ssh의 외부 포트) ip 주소 or 도메인 =>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왔으나 알고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해도 실패) - 3. ssh ip 주소 => (비밀번호..